월드컵경기장 옆에 문화비축기지 개방
극장과 카페, 호프집만 맴도는 데이트에 질렸다면 색다른 데이트 장소에서
색다른 주제로 데이트를 즐겨보자.
문화비축기지는 마포구 상암동 서울월드컵경기장 옆에 위치한 매봉산에 문을 연 공원이다.
원래 이곳은 1973년 석유파동이 일어나자 비상용 석유를 비축하기 위해 건설한 석유비축기지였다.
석유파동이 이후인 1976년부터 5개 탱크를 건설해
서울시민이 한 달 정도 소비할 수 있는 양인 6,907만 리터의 석유를 보관했던 마포석유비축기지였다.
석유비축기지로 사용하던 이 장소는 2002년 월드컵을 앞두고 안전을 이유로 폐쇄되고,
석유는 다른 곳의 비축기지로 옮겨졌다.
그리고 2013년 시민아이디어공모를 통해 문화비축기지로 변신이 결정되었다.
5개의 거대 탱크로 각종 문화공간 조성
몇 년 간의 공사를 마치고 2017년 9월 1일에 문을 연 문화비축기지는
축구장 22개 넓이인 14만 제곱미터라는 방대한 넓이를 자랑한다.
문화마당을 중심으로 6개의 유류보관탱크가 둘러싸고 있는 모습으로
과거에 사용하던 자원을 재활용해 새롭게 탄생한 곳이다.
탱크는 높이 15m, 지름 15~40m로 거대하여 실내체육관 느낌을 준다.
이 중 4개 탱크는 시민을 위한 공연장과 강의실, 이야기관으로 꾸며졌다.
기존 탱크에서 해체된 내외장재를 재활용하여 새로 만든 탱크 한 개는
카페테리어와 원형회의실, 다목적강의실이 있는 커뮤니티센터로 조성되었다.
대부분의 공간은 공간 쓰임새를 한정짓지 않고 공연, 전시, 강연 등
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되었다.
연중무휴 24시간 무료
문화비축기지의 장점은 365일 연중무휴로 24시간 공원이 개방된다는 점이다.
문화비축기지의 문화마당과 주차장은 연중무휴로 상시 개방하므로,
휴일과 밤 늦은 시간을 가리지 않고 언제든지 연인들이 데이트코스로 즐길 수 있다.
단 탱크는 낮에만 개방하며, 월요일에는 탱크가 문을 닫는다.
세금으로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시설이기에 입장료도 없다.
애완견 입장도 가능하므로 애완견과 함께 산책하면서 쉴 수 있는 공간으로도 좋다.
무엇보다 독특한 외형 때문에 연인들이 사진촬영하기 좋은 장소라 할 수 있다.
다만 일반 관람객의 촬영은 제한이 없으나
상업적 사진 촬영은 사전에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.
문화비축기지 정보
• 주소 :서울 마포구 증산로 87 (성산동)
• 문의 : 02-376-8410
• 홈페이지 : http://parks.seoul.go.kr/template/sub/culturetank.do
• 이용시간 : 공원=연중무휴 상시개방, 탱크=10:00~18:00시
• 휴무일 : 월요일(탱크)
• 이용료 : 무료
• 시설 : 안내동, 장애인화장실, 수유실, 유모차대여
• 주차장 : 24시간. 총47면, 소형 10분당 300원, 중형 100분당 600원
탱크 소개
탱크1. 파빌리온 (554㎡)
애플매장처럼 유리로 지붕과 벽을 만든 다목적 커뮤니케이션 공간이다.
탱크 해체 후 남은 콘크리트 옹벽 안에 유리로 벽체와 지붕을 새로 만들어
과거의 옹벽과 현재의 건축물, 암반지형의 조화로운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.
탱크2. 공연장 (2,580㎡)
탱크의 상부는 야외무대로, 하부는 공연장으로 이루어져 있어서
공연이 이루어지는 곳이다.
공연이 없는 날엔 야외공간을 누구나 쉼터로 이용할 수 있다.
탱크3. 탱크원형 (1,046㎡)
직경이 40m나 되는 거대한 탱크로, 리모델링을 하지 않고
유류저장탱크 원형을 그대로 보존한 곳이다.
석유비축기지를 조성한 역사적 상황을 되돌아볼 수 있는 공간이다.
탱크4. 복합문화공간 (1,228㎡)
기존 탱크 내부의 형태를 살려서 만든 공간으로,
천장에서 쏟아지는 햋빛이 여러 개의 파이프 기둥과 어우러진 공간이다.
다양한 주제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.
탱크5. 이야기관 (890㎡)
탱크의 안과 밖, 콘크리트 옹벽, 암반과 절개지까지 모두 감상할 수 있는 공간으로,
석유비축기지에서 문화비축기지로 변화한 40여년의 역사가 전시되는 공간이다.
탱크6. 커뮤니티센터 (2,948㎡)
1·2번 탱크에서 해체된 철판을 재활용해 다시 조립한 신축 탱크다.
카페테리어, 강의실, 회의실 등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이다.
탱크0. 문화마당 (35,212㎡)
시민들이 자유롭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대형 광장이다.